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PER(주가 수익 비율), EPS(주당순이익)무슨 의미일까?

by 사샤삿 2021. 8. 4.
반응형

PER(주가 수익 비율) 의미

PER = 주가 수익 비율 = 주가/주당순이익 = 시가총액/당기순이익
EX) 1주당 10만원인 회사가 1주당 5천원의 수익을 내고 있다면, PER = 10만원 / 5천원 = 20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배율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PER이 낮을 경우 회사가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고 그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PER이 높으면 회사의 이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바이오IT기업은 PER이 높고, 전통제조기업은 PER이 낮은 편입니다.
투자자들이 바이오와 IT 기업은 현재 내는 순이익보다 앞으로 순이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해 매수하는 경향이 있고, 전통제조기업은 앞으로 순이익이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상장하려는 회사와 비슷한 산업군, 비슷한 상황의 회사의 PER 지수와 비교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EPS(주당순이익) 의미

EPS =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일정기간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지표가 됩니다. PER(주가 수익 비율) 계산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으며, 회사의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